빛에 둘러싸인 호수, 스와호
스와시의 상징 스와호
나가노현의 스와시는 지방의 소도시입니다.
인구가 약 5만 명 정도인 작은 공업도시지만
스와시에는 매년 많은 관광객들이 방문합니다.
가미스와 온천, 스와 대사, 다카시마 성 등등
스와시의 유명한 관광지는 많지만
스와시가 사랑받는 건 역시
거대한 호수, 스와호의 역할이 가장 큽니다.
스와호는 나가노현의 거대한 호수입니다.
13 km²의 면적으로, 롯데월드보다 넓고
여의도 면적의 약 4배에 해당하는
굉장히 거대한 호수입니다.
스와 지방의 한 가운데를 차지하고 있는
스와시의 상징 그 자체지요.
아름다운 경관의 스와호
스와호는 아름다운 경관으로 유명합니다.
가까이서 보는 호수가도 물론 아름답지만
전망 공원에서 보는 스와호의 노을과 야경은
나도 모르게 절로 감탄이 나옵니다.
영화 「너의 이름은」의 배경 스와호
스와호는 영화의 배경이기도 합니다.
애니메이션 영화 「너의 이름은」의 배경은
비록 실존하는 곳은 아니지만
실제 장소들에서 모티브를 따온 걸로 유명합니다.
작중에서 여주인공 미츠하가 살고 있는
이토모리 마을의 '이토모리 호수'가
여기 스와호를 모티브로 해서 탄생했습니다.
덕분에 스와시에는 영화 팬들의
일명 성지순례가 매년 이어집니다.
스와호 야경 명소
'타테이시 공원(立石公園)'
타테이시 공원(立石公園)
〒392-0003 長野県諏訪市上諏訪10399
(10399 Kamisuwa, Suwa, Nagano 392-0003)
타테이시 공원은 스와호 야경 명소입니다.
산 위에 있어서 스와호가 한눈에 보이지요.
영화와 가장 비슷한 경관을 볼 수 있는 곳입니다.
타테이시 공원은 대중교통이 마땅치 않습니다.
타테이시 공원에 가실 때는 웬만해서는
렌탈카나 택시를 이용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도보로 접근하기에는 애로사항이 많습니다.
공원이 산 중턱에 있다 보니
가파른 계단과 오르막길이 이어집니다.
체력이 어지간히 좋은 분들이 아니라면
40분의 하이킹은 쉽지 않습니다.
게다가 밤이 되면 굉장히 어둡습니다.
가로등이 별로 없어서 무서워요.
타테이시 공원 가는 법
타테이시 공원을 가려면
가미스와 역에서 내리셔야 합니다.
가미스와 역을 나오시면
역 앞에 택시들이 쭉 서있습니다.
택시에 타면 친절한 기사님이 맞아줍니다.
"타테이시 코우엔 오네가이시마스"
(타테이시 공원 부탁드립니다)
한마디면 대충 알아들으세요.
아님 "키미노 나와(너의 이름은)"이라고 해도
알아들으실 거예요
10분 정도면 도착합니다.
편도로 1300엔 정도입니다.
노을이 완전히 지기 전에 도착하셔서
야경까지 열심히 구경하시고
내려가실 때는 콜택시를 부르시면 됩니다.
택시 호출 앱을 이용하시거나
해외 로밍을 하셨으면 아까 기사님께
미리 명함을 받아서 전화하시면 돼요.
다시 말씀드리자면 도보로는 힘듭니다.
특히 밤에 내려가실 때는 진짜 안돼요.
제가 해 봐서 알아요.
진짜로 엄청 무섭고 힘들어요.
택시비가 좀 아까워도 택시 타시는 게 나아요.
※가미스와역 주변에는 스와호 말고도
다카시마 성, 스와 대사 본궁 등등
갈만한 관광지가 몇 곳 있어요.
일본 내에서도 찾는 사람들이 많은
유명한 관광지들에요.
일정에 참고하시는걸 추천드려요.
<스와호 여행기>
[일본] 주부 지방 여행기 <1일차> (下) _스와 호수
[일본] 주부 지방 여행기 <1일차> (下) _스와 호수
<이전 글> [일본] 주부 지방 여행기 (上) _마쓰모토성 (上) _마쓰모토성" data-og-description="<이전 글> 2021.05.04 - [일본 여행/짤막한 여행기] - [일본] 주부 지방 여행기 <프롤로그> " data-og-description=..
journeymemory.tistory.com
'일본 여행 > 관광지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도야마] 도야마 시내 전망대 _ '도야마 시청' (富山市役所) (0) | 2021.06.01 |
---|---|
[일본 도야마] 다테야마 구로베 알펜루트 _ 일본의 알프스 산맥 (0) | 2021.03.28 |
[일본 마쓰모토] 일본의 국보 천수각_ 마쓰모토 성 (0) | 2021.02.28 |
[일본 도쿄] 아키하바라 - 마이너 매니아의 성지 (0) | 2021.02.24 |
[일본 돗토리] 돗토리 사구&모래 미술관 (0) | 2021.02.17 |
댓글